반응형
주식용어 사이드카란? 개념, 발동조건, 최근 사례 총정리
1. 사이드카란?
사이드카(Sidecar)란 주식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커질 때 프로그램 매매를 일시 중단하는 조치입니다. 원래 오토바이의 보조 좌석을 뜻하는 말인데, 주식시장에서는 프로그램 매매를 통제해 시장을 안정시키는 보조장치 역할을 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사이드카는 선물시장 가격이 급변해 현물시장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 조치가 시행되면 프로그램 매매가 5분간 일시 중단되어 투자자들이 과도한 투매나 투기적 거래를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2. 사이드카 발동 조건
사이드카는 보통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발동됩니다.
- 코스피 200 선물 가격이 전일 대비 ±5% 이상 변동
- 이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될 경우
- 장 개시 후 5분 이내에는 발동 불가
- 1일 1회 발동 가능 (2회 발동은 불가능)
발동되면 프로그램 매도나 매수 주문이 5분 동안 중단되며, 이후 자동 해제됩니다.
반응형
3. 최근 사이드카 발동 사례
사이드카는 시장이 급변할 때만 발동되기 때문에 자주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최근 몇 년간 사이드카 발동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0년 3월 13일 – 코로나19 확산 공포로 글로벌 증시 폭락. 코스피 급락으로 사이드카 발동.
- 2020년 3월 19일 – 코로나 팬데믹 공포 심화. 코스피 선물 5% 이상 하락으로 사이드카 발동.
- 2022년 9월 26일 – 미국 긴축 우려 및 글로벌 경기 침체 공포로 코스닥 사이드카 발동.
- 2022년 10월 11일 –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 앞두고 변동성 확대, 코스피 사이드카 발동.
특히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불과 한 달 사이 여러 번 사이드카가 발동됐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극단적 불안 심리를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합니다.
4. 마무리
사이드카는 주식시장의 급격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중요한 안전장치입니다. 그러나 사이드카가 발동된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 상황이 심각하다는 뜻이므로, 투자자들은 발동 시 신중하게 시장을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앞으로도 시장이 불안정할 때 사이드카 발동 가능성은 존재하므로, 투자자라면 이 용어와 발동 조건을 잘 이해해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반응형
'잡다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XL 투자 리스크 분석: 천만원 투자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5.04.08 |
---|---|
워렌 버핏의 포트폴리오 전략 분석 (0) | 2025.04.08 |
미국 상호관세란? (1) | 2025.04.04 |
Micro SD Express, 닌텐도 스위치2 메모리 카드 (0) | 2025.04.03 |
미국 계란값 폭등 (0) | 2025.04.03 |